ROE(자기자본이익률)
ROE(자기자본이익률)
자기자본이익률(ROE, Return On Equity)이란?
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.
기업이 자기자본(주주지분)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이다.
ROE = 당기순이익 / 평균 자기자본 * 100
풀어쓴 ROE = (순이익/매출) * (매출/자산) * (자산/자기자본)
수익성 활동성 레버리지
기업의 순이익 = 자기자본 + 타인자본
평균 자기자본 = (연초자본총계 + 연말자본총계) / 2
당기 순이익의 경우 영업외 비용에서 타인자본을 조달하는 데 드는 이자 비용을 차감하긴 하나 이자비용을 제외하고도 남는 이익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타인자본의 레버리지 효과가 당기 순이익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.
즉 타인자본인 부채가 늘어나는 경우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오히려 당기 순이익의 증가의 결과를 가져와 기업의 ROE는 호전될 수 있게 된다.
따라서 해당기업의 부채비율을 고려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업의 자기자본만을 가지고 당기 순이익과 비교한다는 것은 약간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, ROE가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자본 이익률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기업의 부채를 뺀 실질 재산으로 한 해에 얼마를 벌어들이는가 하는 원초적인 부분에있다.
기업의 자기자본 = 주주들의 재산.
따라서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ROE가 주식평균수익률보다 높아야 하며, 낮게 잡아도 채권 금리보단 높아야 기업투자의 의미가 있다.
ROE는 10% 이상은 되어야 양호.
ex) ROE가 10% = 1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천만원의 이익.
20% = 2천만원의 이익 .
결론 :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뜻.